안녕하세요~ 오늘은 많은 직장인들이 궁금해하는 '실업 급여'에 대해 얘기해보려고 합니다.
요즘은 평생직장이란 말이 낯설게 느껴지고 한 회사에 계속 있는 일은 거의 드문 일이죠. 그래서 자연스레 실업 급여에 대해 궁금해서 여기저기 해당 정보를 찾아보는 분들이 많아졌습니다.
실업 급여는 구체적으로 무엇인지, 어떻게 해야 신청해서 받을 수 있는지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실업급여란?
2. 실업급여 자격 조건
3. 실업급여 신청 방법
4. 실업급여 수급 기간 및 금액
5. 실업급여에 대한 나의 생각
1. 실업급여란?
실업 급여는 일시적으로 일을 잃은 근로자들에게 경제적인 안정을 제공하는 제도로, 많은 분들이 직장에서
퇴사하거나 계약이 끝났을 때 수급 받을 수 있는 자격이 충족됩니다.
물론 바로 이직이나 취업에 성공하면 실업 급여는 받을 수 없고 이외에도 여러 조건을 통해 객관적인
사실로 취득할 수 있을지 정부에서 심사 후 결과를 알려드립니다.
2. 실업급여 자격 조건
- 이직일 이전 18개월간(초단시간근로자의 경우, 24개월) 피보험단위기간이 통산하여 180일 이상일 것
- 근로의 의사와 능력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취업(영리를 목적으로 사업을 영위하는 경우 포함)하지
못한 상태에 있을 것
-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 이직 사유가 비자발적인 사유일 것 (이직 사유가 법 제 58조에 따른 수급 자격의 제한 사유에 해당 X)
이렇듯 여러 조건을 충족해야만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2, 3번째를 보면 근로를 할 의사나 재취업을 위한 노력을 적극적으로 할 것 같이 애매한 부분도 있어 부정 수급을 노리는 사람들도 많이 있고 적발도 되었습니다.
반대로 자발적으로 일을 그만두지만 회사와 잘 얘기해서 해고를 시켜 실업 급여를 받게 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일한 일수가 18개월간 일을 하고 본인의 의사가 아닌 타의에 의해 퇴직해야 실업 급여를 받을 수 있다는 얘기이며 이 사실이 입증되어야만 합니다.
3. 실업급여 신청 방법
(1) 온라인 신청 방법
- 고용보험 사이트에서 로그인 [ 공동인증서, PASS와 같이 본인이 하고 싶은 방법 ]
- 실업급여 신청 작성화면으로 이동하기 [ 개인서비스 → 실업인정 인터넷 신청]
- 실업급여 인터넷 신청서 작성하기 [ 신청인, 실업인정, 신청서 작성]
- 근로내역, 산재 휴업급여 수급권, 취업내역에 해당 내용 클릭
- 구직활동내역, 구직활동 외 활동사항에 해당 내용 클릭
- 내용 전반적으로 확인 후 제출
(2) 방문 신청 방법
- 상실 신고 및 이직확인서 제출 [ 퇴사한 회사에서 처리, 본인이 직접 전화해서 빠르게 처리해 달라 얘기하면 됨 ]
- 워크넷 구직 등록 및 수급자격 신청자 온라인 교육 수강
-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
- 구직 활동 및 취업 활동 증명
- 최종적으로 승인이 되면 급여가 지급
개인적으로 가장 쉬운 방법은 고용 센터에 방문 신청하는 것이 가장 머리가 안 아프다고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전에 다니던 회사에 상실 신고를 해달라고 말하면 되는데 느리게 하는 경우도 있으니 그냥 전화해서 닦달하도록 합시다 ㅎㅎ
그 후 워크넷 사이트에서 오른쪽 중간에 구직신청하기 버튼이 있는데 해당 교육을 수강 후 무조건 14일 이내에 꼭 고용센터에 방문해 수급 신청을 해야 합니다.
이 다음부터는 본인의 구직 활동 및 취업 활동을 증명하면 되는데 워크넷이나 구인공고 사이트에서 지원하는 내용을 캡쳐해서 증명하면 되는 것으로 압니다. 저도 국민취업제도로 한 번 해봐서 조금은 기억이 나네요.
4. 실업급여 수급 기간 및 금액
고용보험 가입 기간 | 50세 미만 | 50세 이상 및 장애인 |
1년 이상 | 120일 | 120일 |
1년 이상 3년 미만 | 150일 | 180일 |
3년 이상 5년 미만 | 180일 | 210일 |
5년 이상 10년 미만 | 210일 | 240일 |
10년 이상 | 240일 | 270일 |
지급 금액 : 이직 전 평균 임금의 60% X 소정급여일수
실업급여는 상한액과 하한액이라는 개념이 있고 2023년 기준으로 각각 66,000원과 61,568원 입니다. 평균적으로 190만 원 정도의 돈이 일을 하지 않아도 매달 통장에 들어온다는데 정말 무슨 느낌일지 궁금하네요. 일을 하지 않아도 돈이 꼬박꼬박 들어온다는 느낌이...
수급기간은 위 표를 참고하면 됩니다. 최소 4개월에서 최대 9개월 동안 받을 수 있고 여러 조건과 일한 일수 및 회사에 재직해 고용보험에 가입한 기간을 따집니다. 또한 네이버에 실업급여 계산기를 검색하면 자신이 받을 수 있는 금액을 대략적으로 알려줍니다.
5. 실업급여에 대한 나의 생각
실업 급여는 일시적인 경제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업자들에게 힘을 실어주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그러나 이는 일시적인 지원이므로 적극적인 취업활동과 자기 계발에도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실업 급여를 받으시는 분들께는 취업 기회를 찾을 수 있는 시간 동안 자신의 역량을 향상시키고 적극적으로 노력해 나가는 것을 응원하며 빠른 취업과 안정적인 경제 생활을 기원합니다.
힘든 시기를 겪는 분들에게는 항상 희망이 있다는 것을 잊지 마시고 지원과 도움이 필요할 때는 항상 손을 내밀어주는 사회와 가족, 친구들이 있으니 힘이 되거라 생각합니다.
그럼 다음 포스팅 때 다시 돌아오도록 하겠습니다.
'도움되는 정보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업 급여] 실업급여 부정수급 유형 및 적발 될 경우, 신고 포상금 (0) | 2023.07.21 |
---|---|
[실업 급여] 자발적 퇴사해도 받을 수 있는 방법 (4) | 2023.07.20 |
2023년 청년월세지원 자격 및 내용 총정리! (22) | 2023.07.18 |
예술인 창작지원금의 소개과 혜택 : 예술적 자유와 사회적 가치를 인정하는 지원 체계 (4) | 2023.07.17 |
AI를 활용한 고퀄리티 그림을 생성해보자 - 플레이그라운드 AI (0) | 2023.07.16 |